사무엘하 16:1-23
사람은 시련을 겪을 때, 속사람이 어떠한지 드러나게 됩니다. 진실로 하나님을 경외하고 신뢰하는지, 그렇지 않은지 드러나고, 시련을 당한 이 주위에 있는 사람들의 진실도 드러나게 마련입니다. 자신의 이익에 밝은 사람인지, 다른 이를 위하는 마음이 있는지도 드러나게 됩니다.
오늘 성경에, 다윗이 시련을 겪는 중에 그 자신과 주변 사람들이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말씀하고 있습니다. 먼저, 다윗이 압살롬을 피해 감람산 마루턱을 지날 때, 사울의 종 시바가 왔습니다. 두 나귀에 떡 200개와 건포도 100송이, 여름 과일 100개, 포도주 한 가죽부대를 싣고 왔습니다. 그런데 요나단의 아들 므비보셋은 함께 하지 않았습니다. 다윗이 므비보셋은 어디 있느냐고 물었습니다. 시바는 므비보셋이 이스라엘 족속이 오늘 내 아버지의 나라를 내게 돌릴 것이라 했다고 전해주었습니다. 그 말을 들은 다윗은 강한 배신감을 느꼈습니다. 므비보셋에게 주었던 사울의 집 재산을 시바에게 주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시바의 모함이었습니다. 그는 기회를 틈타서 주인을 모함하고 이익을 얻고자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삼하 16:1 다윗이 산꼭대기에서 떠난 지 얼마 안 되어서, 므비보셋의 하인 시바가 와서 그를 맞이하였다. 시바는 나귀 두 마리에 안장을 얹고, 그 위에다가는 빵 이백 개와 건포도 뭉치 백 덩이와 여름 과일 백 개와 포도주 한 가죽부대를 싣고 왔다. 16:2 왕이 시바에게 물었다. "네가 무엇 때문에 이것을 가지고 왔느냐?" 시바가 대답하였다. "이 나귀들은 임금님의 가족들이 타고, 빵과 여름 과일은 신하들이 먹고, 포도주는 누구나 광야에서 기진할 때에 마시고, 이렇게 하시라고 가져 왔습니다." 16:3 왕이 또 물었다. "그런데, 네가 섬기는 상전의 손자는 지금 어디에 있느냐?" 시바가 왕에게 대답하였다. "그는 지금 예루살렘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제야 이스라엘 사람이 자기 할아버지의 나라를 자기에게 되돌려 준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윗이 바후림에 이를 때, 사울의 친족중 하나인 시므이가 왔습니다. 다윗과 신하들을 향해 돌을 던지며 저주했습니다. “피 흘린 자여, 사악한 자여, 가거라 가거라. 사울 족속의 모든 피를 여호와께서 네게 돌리셨도다.” 그는 다윗의 고통을 하나님의 징벌로 여기며 기뻐했습니다. 그때 아비새가 시므이를 치겠노라고 다윗 앞에 나섰습니다. 아비새는 충성된 다윗의 신하였습니다. 그러나 다윗이 말렸습니다. “여호와께서 그에게 다윗을 저주하라 하심이니, 네가 어찌 그리하였느냐 할 자가 있겠느냐. 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고 그 저주 때문에 선으로 내게 갚아주시리라.” 다윗은 고난이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징벌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대로 받아들이며, 다만 하나님께서 긍휼히 여기시고, 구원해 주시기를 기대할 뿐이었습니다. 다윗 신앙의 중심이 다시 회복되어 가고 있었습니다.
삼하 16:9 그러자 스루야의 아들 아비새가 왕에게 아뢰었다. "죽은 개가 높으신 임금님을 저주하는데, 어찌하여 그냥 보고만 계십니까? 제가 당장 건너가서 그의 머리를 잘라 버리겠습니다." 16:10 왕은 대답하였다. "스루야의 아들아, 나의 일에 너희가 왜 나서느냐? 주님께서 그에게, 다윗을 저주하라고 분부하셔서 그가 저주하는 것이라면, 그가 나를 저주한다고, 누가 그를 나무랄 수 있겠느냐?" 16:11 그런 다음에 다윗이 아비새와 자기의 모든 신하에게 말하였다. "생각하여 보시오. 나의 몸에서 태어난 자식도 나의 목숨을 노리고 있는데, 이러한 때에, 하물며 저 베냐민 사람이야 더 말해 무엇하겠소. 주님께서 그에게 그렇게 하라고 시키신 것이니, 그가 저주하게 내버려 두시오. 16:12 혹시 주님께서 나의 이 비참한 모습을 보시고, 오늘 시므이가 한 저주 대신에 오히려 나에게 좋은 것으로 갚아 주실지, 누가 알겠소?"
압살롬이 점령한 예루살렘에는 다윗의 지략가 아히도벨이 함께 있었습니다. 아히도벨은 밧세바가 손녀였기에, 다윗의 악행을 계기로 배반하고 압살롬 편에 섰습니다. 압살롬에게, 다윗이 피난가면서 왕궁에 남겨놓은 후궁 10명과 대낮에 동침하도록 조언했습니다. 그것은 아버지 다윗을 정복했다는 의미이며, 백성들에게 압살롬이 다윗을 확실히 미워한다는 표징이 될 것이라 했습니다. 다윗을 돕던 그의 지략은 다윗을 괴롭히는 악한 계략이 되었습니다. 다윗의 친구 후새는 다윗의 요청으로 압살롬을 돕는척 위장하고 왕궁에 머물렀습니다. 다윗을 돕고자 목숨 걸고 압살롬 곁에 있었습니다. 결국 그 후새의 활약으로 다윗은 무사히 왕궁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삼하 16:20 압살롬이 아히도벨에게 물었다. "이제 우리가 무슨 일부터 해야 될지 의견들을 내어 보시오." 16:21 아히도벨이 압살롬에게 말하였다. "부왕이 왕궁을 지키라고 남겨 둔 후궁들과 동침하십시오. 이렇게 임금님께서 부왕에게 미움받을 일을 하였다는 소문을 온 이스라엘이 들으면, 임금님을 따르는 모든 사람이 더욱 힘을 낼 것입니다." 16:22 그리하여 사람들이 옥상 위에 압살롬이 들어갈 장막을 차려 주니, 온 이스라엘이 보는 앞에서, 압살롬이 자기 아버지의 후궁들과 동침하였다. 16:23 사람들은 아히도벨이 베푸는 모략은, 무엇이든지, 마치 하나님께 여쭈어서 받은 말씀과 꼭 같이 여겼다. 다윗도 그러하였지만, 압살롬도 그러하였다.
다윗은 잠시 하나님의 길을 잃고 악을 행하였으나, 시련중에 다시 중심을 회복해 가고 있었습니다. 피난 길에 법궤를 메고 따라 나섰던 사독과 아비아달 제사장을 돌려 보내며 하나님이 은혜 주시면 다시 인도하실 것이라 하더니, 이번에는 저주하는 시므이를 하나님이 시키신 일로 받아들이며 용납했습니다. 그런가하면 아비새와 후새는 여전히 충성하고, 시바와 시므이와 아히도벨은 다윗의 시련을 자신들의 이익의 기회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의 뜻을 인정해주지 않으셨습니다. 우리도 평안을 누릴 수도 있고,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평강이나 어려움 그 자체보다, 하나님이 함께 하시며 인도하시는 은혜안에 있는가 입니다. 주위에 있는 사람들도 여러 형편에 처할 수 있습니다. 그들에 대한 우리의 반응과 태도도 하나님은 주목해 보신다는 것을 알아야 하겠습니다. 다른 사람의 불행이 우리의 기쁨이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입니다. 언제든지 하나님이 인정하시는 길을 따라 살아갈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말씀 기도: 저와 주변 사람들 모두를 긍휼히 여기시고 선한 길로 인도해 주옵소서
'사무엘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과 아버지 사이에서 (0) | 2022.03.29 |
---|---|
아히도벨의 모략과 후새의 모략 (0) | 2022.03.28 |
압살롬의 반란과 다윗의 피난 (0) | 2022.03.24 |
압살롬의 귀환과 다윗의 고민 (0) | 2022.03.23 |
죄의 댓가 (0) | 2022.03.22 |